중위소득 금액 확인하는 방법



Q. 중위소득이란?

A.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중위 소득은 소득 수준의 '중간값'을 말하며 국민의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파악하는 데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정부는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복지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 즉 기초생활보장, 청년 지원, 주거급여 등의 기준을 설정할 때 참고하고 있습니다. 

매년 중위 소득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 링크 확인하셔서 해당 연도의 중위소득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 위 표는 2024년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매년 7월~8월 사이에 다음 연도의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3년 8월에 고시하고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4년 8월경에 고시합니다. 



Q. 현재 기준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2025년 복지 사업 신청 전까지는 2024년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심사합니다. 다만 2025년 1월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사업들은 2025년 고시 중위소득 기준으로 자동 전환되니 신청 시점에 따라서 적용 기준들이 달라질 수 있어서 이 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Q. 중위소득은 어떻게 활용될까?

A. 중위소득은 다양한 정부 복지 사업의 소득 기준선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중위소득 기준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①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 : 중위소득 30% 이하

② 청년 월세 지원 : 청년 본인 소득 기준으로 중위소득 60% 이하

③ 주거 급여 : 가구 소득 중위 46% 이하

④ 그 밖의 아동수당, 에너지 바우처, 긴급 복지 등 다양한 복지 혜택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음 이전